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IaC(Infrastructure as a Code)

1. IaC란 무엇인가?

IaC(Infrastructure as Code)는 인프라 구성을 코드로 선언하거나 스크립트로 자동화하여 관리하는 방법론이다. 수동 작업 대신 코드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해 일관된 환경 구성, 자동화된 배포, 형상 관리 및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2. IaC의 주요 특징

(1) 코드로서의 인프라 정의

  • 인프라 구성이 YAML, HCL, JSON, Python 등 코드 형태로 작성된다.
  • 예: 서버 인스턴스 생성, 방화벽 설정, 네트워크 세분화 등 모두 코드로 정의

(2) 선언형과 절차형 방식

  • 선언형(Declarative): 원하는 최종 상태만 정의 (예: Terraform, CloudFormation)
  • 절차형(Imperative): 인프라 구성 절차를 순서대로 명시 (예: Ansible, Chef)

(3) 버전 관리 가능

  • Git 등 형상관리 도구로 인프라 변경 이력 추적 가능
  • 협업, 롤백, 리뷰 등 개발 문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 가능

(4) 테스트 및 재현성

  • 코드 기반이므로 테스트 자동화, 정적 분석, 시뮬레이션 가능
  • 개발, 테스트, 운영 환경 간의 재현성 확보

3. IaC의 주요 이점

(1) 자동화와 일관성

  • 사람이 설정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스크립트 한 줄로 환경을 일관되게 구성할 수 있음

(2) 비용 및 시간 절감

  • 수작업 인프라 구축 시간을 단축하고, 운영 비용 절감 가능

(3) 변경 추적 및 감시 용이

  • 어떤 인프라 변경이 언제 누구에 의해 발생했는지 명확히 추적 가능

(4) 장애 복구와 확장성 향상

  • 코드만 있으면 수분 내 재배포 가능
  • 스케일 아웃, 스케일 업을 코드로 간단히 처리 가능

4. 대표 IaC 도구 비교

도구명 방식 특징
Terraform 선언형 멀티 클라우드 지원, 가장 보편적인 도구
Ansible 절차형 에이전트리스 구조, 서버 설정 자동화 중심
AWS CloudFormation 선언형 AWS 전용, IAM 연계 강력
Pulumi 선언형 + 절차형 혼합 Python, Go 등 실 코드 기반 인프라 작성
Chef / Puppet 절차형 전통적인 구성 관리 도구, 학습 곡선 존재

5. 실무 적용 팁

(1) 소규모라도 Git을 활용한 코드 버전 관리를 적용한다. (2) 변수, 모듈, 템플릿을 통해 재사용성을 고려하여 구조를 설계한다. (3) 코드 변경 전에는 반드시 plan/simulation 기능을 통해 결과를 확인한다. (4) Terraform과 같은 도구는 상태 파일(state file)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5) 프로덕션 반영 전 테스트 환경에서 충분한 검증 절차를 갖춘다.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01813

 

[IaC ①] 개발과 운영의 경계 허문다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데브옵스(DevOps)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IaC(Infrastructure as Code)’가 떠오르고 있다. IaC는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작성해 인프라

www.itdail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