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Bert vs GPT 1.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2.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 3. Bert VS GPT 차이점 구조: BERT는 기반으로 하는 아키텍처가 Transformer입니다. BERT는 양방향 인코더를 사용하여 문맥을 포착합니다. GPT는 Transform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지만, 단방향 디코더를 사용하여 문맥을 포착합니다. 학습 방식: BERT는 양방향(바이디렉셔널) 문맥을 학습하며, 이를 위해 'masked language modeling(MLM)'이라는 학습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입력 문장의 일부 단어를 마스킹하고, 모델이 이 마스크된 단어를 예측하도록 .. 정보보안 업무에 LLM 한스푼 LLM 기술을 활용한 정보보안 업무 적용 전략대형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은 단순한 챗봇을 넘어, 보안 자동화, 로그 분석, 위협 탐지, 정책 수립 지원 등 실무 보안 영역에 깊이 활용될 수 있다.이 글에서는 정보보안 조직 내에서 LLM을 다음 세 가지 관점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정리한다.1. 기술 보안 영역LLM은 보안 기술 분석 및 자동화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도구적 역량을 제공한다.{1} 활용 포인트악성코드 행위 분석 요약네트워크 패킷/로그 파싱 및 이상 징후 설명YARA, Snort, Sigma 룰 자동 생성 및 튜닝리버스 엔지니어링 설명 보조SAST 결과 요약 및 false positive 분류 지원{2} 적용 예시sandbox에서 추출한 C2 연결 로그를.. Regression vs Classificatio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AI 필터링 Chatgpt의 등장으로 챗지피티를 활용한 대용량 블로그 유투브 업로드가 이뤄지고 있다 어떻게 ai로 작성한 글을 필터링할 수 있을까? https://theqoo.net/index.php?mid=square&filter_mode=normal&page=9&document_srl=2724301223 구글에서 AI로 만든 사이트때문에 오염된 검색 결과 없애는 방법 - 스퀘어 카테고리 구글검색 때 AI로 만든 쓰레기 검색 결과 없애는 방법 최근 chaygpt 등을 이용해 별 정보도 없는 정크 사이트가 검색에 걸려서 구글 검색 결과가 많이 오염되어서 해결방법 찾아봄 ublacklist 구글 theqoo.net https://goldpenguin.org/blog/check-for-ai-content/ https:/.. 초거대 AI 초거대 AI란?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매개변수(가중치,파라미터)를 학습시킨 AI == LLM(a large language model),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초거대 AI 활용 초거개 AI 사례 초거대 AI란? 딥러닝 기법을 쓰는 인공신경망 가운데서도 그 파라미터(매개변수)가 무수히 많은 AI를 뜻한다. 파라미터는 인간 뇌에서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냅스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학습량이 많을수록 좋은 결과를 낼 가능성이 높은 것처럼, 파라미터의 규모가 커질수록 AI가 데이터를 분석하는 지능도 비약적으로 확대된다. 1,000억 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진 초거대 AI는 언어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추론까지 가능하다. 초거대 AI의.. AI는 나보다 투자를 잘할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구글이 개발중인 AI, LaMDA에 자아가 생겼다? https://cajundiscordian.medium.com/is-lamda-sentient-an-interview-ea64d916d917 Is LaMDA Sentient? — an Interview What follows is the “interview” I and a collaborator at Google conducted with LaMDA. It is incomplete as the GMail word limit cut off the… cajundiscordian.medium.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79907?sid=104 ‘죽음’이 두렵다는 AI 람다, 그를 감싼 구글 엔지니어가 정직 당한 이유 구글 엔지니어 블레이크 르모인이 유급 .. 한국어 혐오발화 평가 분류모델 데이터셋 https://github.com/jason9693/APEACH GitHub - jason9693/APEACH: APEACH: Attacking Pejorative Expressions with Analysis on Crowd-generated Hate Speech Evaluation Dat APEACH: Attacking Pejorative Expressions with Analysis on Crowd-generated Hate Speech Evaluation Datasets - GitHub - jason9693/APEACH: APEACH: Attacking Pejorative Expressions with Analysis on Cr... github.com 이전 1 2 3 다음